|  
        
        
 
 - 본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의 전통의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이를 현시대에 적용시킬 수 있게 한다.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우리 옷에 대한 소중함과 복장예절의 중요성을 깨달아 바른 옷차림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전통한옥에서 체험하는 전통생활 속에서 전통 예절과 현대예절을 배우면서 바른 옷차림의 중요성과, 바른 몸가짐, 바른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. 또한 현재의 의식주 예절을 살피고 그것의 기원을 탐구하면서 현재의 예절의 기원과 전개에 대한 깊은 이해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. 
 체험비:  1인 체험비 10,000원  대상  : 중학생 프로그램 일정표(오후 시간으로 변경 가능) 
| 시간 | 단위 프로그램명 |  
| 09:00~09:30 | “오리엔테이션”_30분 |  
| 09:30~10:30 | “한복예절”_60분 |  
| 10:30~11:30 | “예절교육”_60분 |  
| 11:30~12:00 | “마무리”_30분 |  
 
| 단위프로그램명 | 한복예절 | 활동시간 | 60분 |  
| 단위프로그램 목표 | 한복을 입고 우리 문화의 소중함과 복장 예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| 활동인원 | 최대 50명 |  
| 유의사항 | 수준에 맞춰 실습 위주로 교육한다. | 활동장소/ 세부활동장 | 청을전통문화원 교육관 |  
| 활동단계 | 활동내용 |  
| 도입 | 1. 청을전통문화원 입소 및 문화원소개 2. 주의사항 전달 |  
| 전개 | *한복 입어보기 1. 개인당 1벌씩 직접 착장하며, 착장 법에 대해 교육함. 착장과정을 두루 살피고 착장을 보조하며 착장할 때 실수한 사항을 보고 이를 이후 재교육함. 2. 한복은 다른 나라 복식에서 본 따지 않고 우리 조상들이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자생적인 우리 옷임을 교육.    가) 복장예절의 의미 교육    나) 한복의 발달과 변천   다) 한복의 유래와 종류         1). 남자한복 입는 법 : ①바지 입는 법, ②대님 매는 법. ③옷고름 매는 법        2). 여자한복 입는 법 : ① 속 옷 입는 법 ②겉치마 입는 법 ③저고리 입는 법   라) 옷을 바르게 입는 예절          ⑴ 옷의 기능          ⑵ 체온 보존을 위한 옷          ⑶ 신체 방호를 위한 옷          ⑷ 아름다움을 위한 옷          ⑸ 수치 가림을 위한 옷          ⑹ 어울림을 위한 옷 3. 절 배우기  전통 배례법 교육 - 양복과 양장이 편리한 세상이 되었지만 전통적인 민족의상의 보존에 힘쓰며 현대 의상을 입었을 때의 몸가짐이나 마음가짐을 바로 할 수 있도록 한다.    ·남자: 큰절, 평절    ·여자: 큰절, 평절 |  
| 마무리 | 1. 한복 착장의 소감과 느낌 발표 2. 질의응답 3. 다음 단위프로그램 전 쉬는 시간(15분)을 갖고 휴식 간 유의사항 전달 |  
 
| 단위프로그램명 | 예절교육 | 활동시간 | 60분 |  
| 단위프로그램 목표 |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예의를 지키는 예의바른 청소년이 되도록 한다. | 활동인원 | 최대 50명 |  
| 유의사항 | 눈높이에 맞춰 사례 위주 교육 실시한다. | 활동장소/ 세부활동장 | 청을전통문화원 교육관 |  
| 활동단계 | 활동내용 |  
| 도입 | 1. 공수 하고 경례하는 법 2. 예절에서의 방위 3. 사람이 되는 기본자세와 생활예절 |  
| 전개 | * 구체적으로 예의범절을 배우고 실습한다.(예의범절 실습 및 사례를 통한 이론적 학습)  1. 남좌여우, 남동여서 2. 예절에서의 방위 3. 우리는 인(仁)사상이다. 4. 생활예절   1) 기거동작   2) 가정예절 : 가정에서 어른들을 공경하고 형제 자매간에 지켜야 할 예절을 배운다.   3) 학교예절 : 선생님을 대할 때 부모님과 같이 대하고 친구, 선후배사이의 예절을 배운다. 5. 어른들에게 존댓말을 해야 하는 이유, 윗사람과 친구에게 친절한 말을 해야 하는 이유를 배운다.  6. 고전의 구용(아홉 가지의 바른 몸가짐)을 배워본다. * 예절은 버릇이고 법이다. 좋은 버릇을 가지고 바른 생활을 하는 청소년이 되도록 노력한다. |  
| 마무리 | 1. 질의응답 2. 한복 벗고 정리 3. 프로그램 수행 소감 조사 |  
 
 
 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