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본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   
   판소리와 민요의 체험을 통해 우리음악의 아름다운 소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. 
이를 바탕으로 조상들의 삶을 이해하고 우리 문화의 소중함을 느끼며 
전통음악을 발전시켜 고유의 음악성을  바탕으로 창의적인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한다.
대상 : 중학생
체험비 :1인  10,000원
프로그램 일정표(오후 시간으로 변경 가능합니다).
| 시간 | 단위 프로그램명 | 
| 09:00~09:30 | “오리엔테이션”_30분 | 
| 09:30~11:30 | “소리체험”_120분 | 
| 11:30~12:00 | “마무리”_30분 | 
| 단위프로그램명 | 소리체험 | 활동시간 | 120분 | 
| 단위프로그램 목표 | 청소년들의 우리 소리문화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증진시키며 자부심과 흥미를 갖도록 한다 | 활동인원 | 최대 50명 | 
| 유의사항 | 수강자의 수준을 적절히 파악하고 실습 시 가창능력을 적절히 배려하여 진행한다. | 활동장소/ 세부활동장 | 청을전통문화원 교육관 | 
| 활동단계 | 활동내용 | 
| 도입 | 1. 우리 소리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한다. 2. 우리 소리 체험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. 3. 우리 소리에 대한 수강자의 선입견과 가창능력을 파악한다. | 
| 전개 | 
| 주제 | 학습내용 |  
| 호흡법과 발성법 (아리랑) | - 호흡법과 발성법 익히기 - 여러지역의 ‘아리랑’을 중심으로 발성법과 노래 부르기 - 장단을 익혀 노래부르기 |  
| 판소리 흥보가 中 ‘흥보가 밥 먹는 대목’ | - 장단의 빠르기를 느끼며 발성법에 주의 하며 부르기 - 언어의 전달법 익히기 - 장단에 맞추어 여러 가지 가락 익히기 |  
| 퓨전 창작판소리‘과자가’(1) | - 아니리의 발성법에 주의 하며 듣고 따라 부르기 - 창작판소리의 흥겨운 소리의 느낌을 살려 듣고 따라 부르기 - 신체를 이용한 음높이를 표현하며 장단에 어울리게 노래 부르기 |  
| 퓨전 창작판소리‘과자가’(2) | - 아니리의 발성법에 주의 하며 듣고 따라 부르기 - 창작판소리의 흥겨운 소리의 느낌을 살려 듣고 따라 부르기 - 신체를 이용한 음높이를 표현하며 장단에 어울리게 노래 부르기 |  
| 퓨전 창작판소리‘과자가’(3) | - 아니리의 발성법에 주의 하며 듣고 따라 부르기 - 창작판소리의 흥겨운 소리의 느낌을 살려 듣고 따라 부르기 - 신체를 이용한 음높이를 표현하며 장단에 어울리게 노래 부르기 |  
| 퓨전 창작판소리‘과자가’(4) | - 아니리의 발성법에 주의 하며 듣고 따라 부르기 - 창작판소리의 흥겨운 소리의 느낌을 살려 듣고 따라 부르기 - 신체를 이용한 음높이를 표현하며 장단에 어울리게 노래 부르기 |  
| 민요 中 ‘강강술래’(1) | - ‘강강술래’놀이를 위한 여러 가지 전래동요와 민요 듣고 따라 부르기 - 한배에 따른 장단의 변화를 경험하며 흥겹게 부르기 |  
| 민요 中 ‘강강술래’(2) | - 노래에 어울리는 놀이방법을 익히며 메기고 받으며 노래 부르기 - 강강술래의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며 흥겹게 노래 부르기 |        * 강의 중간에 휴식시간(10분)을 갖는다. * 동작, 발성 등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우리 소리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케 하며 이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수강생의 흥미를 유발한다.  | 
| 마무리 | 1. 개별 가창 기회를 갖는다. 2. 질의응답  |